2024년 10월 28일 월요일

카잔 브릭스 정상회의의 성공과 그 의미

2024년 10월 22일부터 24일 러시아의 카잔에서 16차 브릭스(BRICS) 정상회의가 개최되었다. 이번 회의는 중국, 인도, 이란 등 9개 브릭스 회원국 정상들을 포함해 24개국의 정상들이 참여하였고, 36개국의 대표단과 6개 국제기구가 참가한 명실상부 역대 최대규모의 회의였다. 이번 16차 브릭스 정상회의에서는 새로운 세계질서를 표방한 카잔 선언이 채택되었고, 인도네시아와 카자흐스탄, 베트남 등 13개국을 새로운 파트너 국가로 지정하였다. 역대급 규모로 성공적으로 치러진 이번 카잔 브릭스 정상회의는 서구중심시대의 종말과 새로운 세계질서를 선언한 최초의 회의로 기록될 것이다. 브릭스의 가장 큰 특징은 다극화와 평등한 국제관계다. 이것이 서구중심의 일극적 세계질서를 표방하는 G7이나 G20과 다른 점이다. 브릭스는 일방적 지시와 내정간섭이 아니라 국가주권의 상호존중과 협력에 기반하고 있다. 브릭스는 2009년 러시아의 예카테린부르크에서 러시아, 중국, 브라질, 인도 4개국이 참가하여 첫 회의를 개최한 이래 회원국 수가 증가하여 현재는 9개국이 정식 회원국의 지위에 올라 있다. 브릭스는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이미 서구중심의 G7을 추월하였다. 브릭스는 세계인구의 45%를 차지하며, 세계 GDP(PPP기준)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36%에 이르고 있다. 반면 G7은 세계인구의 10%에 불과하고, 세계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30%에 불과하다. 이 격차는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브릭스가 점점 세력을 확대하는 가장 큰 이유는 서구의 위선과 일방주의 때문일 것이다.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은 일방적 지시와 내정간섭을 일삼는 서구의 헤게모니와 자신들의 경제적 부를 앗아가는 달러 패권주의에 염증을 느끼고 있다. 그들에게는 종속적 지위를 강요하는 서구보다는 내정불간섭과 협력을 모토로 하는 브릭스가 훨씬 매력적인 파트너가 될 수밖에 없다. 미국과 서구는 자신들의 기울어가는 패권을 되찾기 위해 우크라이나와 중동에서 발악을 하고 있지만 역사의 흐름은 돌이킬 수 없다. 만약 미국과 서구가 패권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못한다면 그들이 세계의 변방으로 전락하는 것은 시간문제일 것이다. 서구가 세계의 중심이던 시대는 이미 지났으며 비서구와 글로벌 사우스의 부상은 저항할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다. 2024년의 카잔은 인류역사의 새로운 시대를 연 장소로 기억될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